나의 목적에 부합한 경제를 공부 방향은 산업의 방향성을 토대로 한 경제 흐름이겠지만 아파트 투자의 관점에서 엄청 좋은 책이라고 느꼈다. 전세가율, LTV, DTI, 역전세 등 개념과 부동산에 관한 내용인 전세금 레버리지, 입지분석, 계약, 임장 등 전반적인 내용을 훑어볼 수 있었다. 은행이 고객의 돈을 활용해 돈을 버는 동안 시장에는 실제 돈의 양인 100만 원보다 더 많은 양의 돈이 '생겨난다.' 인플레이션이 통화량 증가로 인한 돈의 가치하락에서 비롯된다고 한다. 은행에서 대출업을 하기 때문에 통화량이 증가한다는 것도 아리송했는데 정립되었다. 은행에서 숫자로 찍힌 잔고 내역이 실제로 은행안에 고스란히 남아있지 않다는 말과 같다. 은행은 그 돈을 굴려서 이득을 취하려고 한다. 최근 실리콘 벨리의 SVD라..
잠이 안 온다... 잠을 자야만 생산성이 보장되고 사고의 퀄리티 증가, 뇌의 기억 저장, 감정 조절이 좋아진다는 것을 알지만 하루의 끝을 붙잡고 늘어지는 것을 막기란 어렵다. 요즘 생각이 많은 것도 한 몫하는 듯 하다. 그래서! 나의 목표과 구체적인 비전을 적어보려 한다. 가장 큰 목표는 70대의 목표이기에 시간을 역행하는 구조로 목표들을 설명해 나가보겠다. 나는 나의 가장 큰 목표를 직업이나 행동으로 설정하지 않았다. 예를 들어, 의사나 누군가를 가르치는 것처럼 말이다. 의사나 가르치는 행위를 평가절하하는 게 아니니 오해하지 않았으면 한다. 나의 가장 큰 목표는 70대에 내가 그릴 삶의 한 장면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 바로 손주들에게 내가 살아온 삶의 여정을 재미있게 풀어주고 남은 시간 아내와 여가를 ..
기버, 매처, 테이커 저자는 사람을 3종류로 분류한다. 기준은 '상호관계에서 무게의 추를 어느쪽으로 기울이는가' 이다. 기버는 자기가 받는 것보다 상대방에게 더 많이 주는 사람이고 매처는 자신과 상대의 이익을 균형을 이루려는 사람, 테이커는 자신에게 중점을 두고 이익을 더많이 취하려는 사람이다. 대략 기버와 테이커가 1/4씩, 매처가 1/2을 차지한다고 한다. 많은 사람들이 '합리적인 상호작용'인 호혜의 법칙을 강하게 받는다는 점에서 매처가 많은 이유를 알 수 있을 것 같다. 창의성 테이커는 자신의 발전과 이득이 우선으로 여기기 때문에 고집스럽고 독단적이다. 약육강식을 베이스로 둔다. 하지만 이런 자기중심적 태도는 독창성과 창의성을 펼치는 영역에서는 장점이 될 수 있다. 상상력을 제한하는 사회적 분위기를..
https://youtu.be/XjltVncQRQQ 능력주의의 비판이 담긴 내용이다. 마이클 센델의 '공정함이라는 착각'이라는 책을 리뷰하는데, 책의 저자는 능력주의가 가난과 같은 본인이 선택하지 못하는 환경인 불평등 상황을 합리화하는 도구로 사용되는 것을 비판한다. 이에 따라 공동선이라는 사회를 보장할 수 있는 선을 고민해야한다는 주장도 한다. 능력주의로 노력이라는 변수가 생겼으니 옛날의 신분제도에 비해 더 발전했다고 볼 수 있으나 이 “노력”으로 커버할 수 없는 영유아기, 유년기의 환경 측면에서의 제약은 아직 벗어나지 못했다고 볼 수 있다. 그렇기 때문에 초등학교, 중학교 취학을 국가 법으로 제정하고 교육의 평등을 보장해준다고 직관적 추론을 해본다. 여전히 부모님의 경제적 수준에 따라 여전히 불평등의..
너무 생각이 많다. 기준을 세우기 힘들다. 확실한 주장이 잘 안만들어진다. 어떤 한 주장을 읽고도 내 안에서 찬성과 반대가 치열하게 싸운다. 이거는 맞는 것 같은데? 그럼 이건 어쩔껀데? 야 그건 이거 때문에 안돼. 이거 니 경험상 맞잖아. 그건 그렇지만 확증편향일 수도 있지 않나? 이렇게 생각하다 보면 재미있어서 더 찾아보고 하다가 시간이 훌쩍지나 할 거를 못하는 상황까지 온다. 내 생각이 발전했음을 반증하는 게 아닐까. 행위에 이점이 분명하다면 판단하지말고 그냥 쭉 가는게 맞다고 생각한다. 마음에게 불안 요소를 던지지 말자. 그것만큼 시간 낭비가 없다. just do it ! simple is the best ! smart ! keep going !
원래 이번 포스팅은 요즘 1인 창업가로 성장하는 트랜드 방법이었으나! 더 재미있는 주제가 생각나서 미뤄둘려고 한다. 바로바로! 상당히 무거운 주제인 자유의지*에 관한 내용이다. https://justdecide.tistory.com/28 이 포스팅의 연장선 같기도 하다. 자유의지는 존재하는가? 나는 자유의지는 존재하지만 발현되기 힘들다고 생각한다. 이렇게 결론이 난 이유는 성인이 되면 성격은 고정되고 성격에서 중요한 시스템을 만족시켜주는 행동을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이다. 생물학적, 신경생물학적 연구에 기반한 성격 특징을 바탕으로한 성격*은 50% 유전적으로 타고난다. 나머지 50%는 영•유아기 및 청소년기에 접하는 교육, 경험, 문화에 따라 달라진다. 성인이 되어서 바뀌는 경우는 매우 드물다고 한다. 그..
책 '나는 1주일에 4시간 일하고 1000만원 번다'의 사업가의 마인드에 대한 좋은 예시가 있어 소개하려한다!😁 아버지가 아들에게 말했다. 아버지: 아들아, 넌 내가 정해주는 여자랑 결혼해라. 아들: 싫어요. 아버지: 그 여자 애는 빌게이츠의 딸이란다. 아들: 그럼 좋아요. 아버지는 빌게이츠를 찾아갔다. 아버지: 당신 딸과 내아들을 결혼시킵시다. 빌게이츠: 싫소! 아버지: 내아들은 월드뱅크의 CEO요. 빌게이츠: 그럼 좋소! 아버지는 이제 월드뱅크 회장을 찾아간다. 아버지: 내 아들을 월드뱅크 CE로 임명하시오. 회장: 싫소! 아버지: 내 아들은 빌게이츠의 사위요. 회장: 그럼 좋소! 아버지는 아무 것도 없었지만 3가지를 얻었다. 그리고 아버지의 말은 결국 모두 사실이 되었다. 없는 것을 팔 수 있어야 ..